전체 글43 종합소득세율 (최신) 사업을 하는 분들이라면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하며 근로자 역시 근로소득 외에 추가적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면 종합소득세율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불필요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종합소득세율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월 ~ 12월까지 벌어들인 소득이 있다면 다음해인 2024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 외에도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등입니다. 근로자 역시 회사의 근로소득 외에 소득이 300만원이 발생했다면 근로자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율 2023년 종합소득세율은 최소 6%에서 4.. 2023. 9. 14. 부동산 취득세율 (최신 취득세율표) 취득세는 부동산이나 자산 등을 취득할 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 지역마다 다르게 적용되기도 합니다. 부동산 매수할 계획이 있다면 미리 취득세율을 확인하고 예산을 고려해야 합니다. 오늘은 부동산 취득세율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취득세 계산 부동산 취득세율이란? 취득세는 지방세 중 하나이며 건축물, 부동산 등을 매입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부동산 취득세율의 경우 주택 수와, 주택가액에 따라 취득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취득세 계산해보기 1 가구 1 주택 부동산 취득세율 1 가구 1 주택이라면 부동산 취득세율의 경우 주택 가액에 따라 1~3%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일시적 1 가구 2 주택자 역시 1 가구 1 주택자와 동일한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6억 원 이하 : 1% 6억 원 초과 9억 원 이하 : .. 2023. 9. 14. 증여세 면제 한도액 (개정)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어떻게 될까요? 최근 저출산 문제로 정부에서 증여세를 개정해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상향했습니다. 그렇다면 개정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어떻게 될까요? 지금부터 어떻게 변경이 되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증여를 생각하고 있는 분이라면 개정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증여세 계산 👆 증여세 증여세는 쉽게 말해 누군가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양도받게 된다면 그에 따른 세금을 내야 하는데 그게 바로 증여세입니다. 흔히들 생각하기로 상속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다음 그 재산을 물려받는 것을 의미하며 증여는 살아계실 때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 증여세 면제 한도액 👆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가족, 친족 등 특수관계인에 대해서는 각각 증여세 면제 한도.. 2023. 8. 22. 연차수당 계산기 (계산방법) 연차수당은 많은 근로자들에게 중요한 유급휴가 대신 제공되는 소득이자 보상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연차수당의 정확한 계산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연차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이해하고, 더욱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연차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연차수당 계산기 및 계산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 연차수당 계산방법 ◀ 👆 연차수당 계산 방법 연차수당은 일반적으로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일수'로 계산됩니다. 이때 일일 통상임금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포함한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 연차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기 ◀ 👆 연차수당 계산기 연차수당은 근로자에게 중요한 혜택 중 하나로, 정확한 금액을 계산하려면 복잡한 수식과 변수를 고려.. 2023. 8. 9.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