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조건 (6개월, 180일)

by 피니해피 2023. 11. 9.

목차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 주는 제도가 실업급여입니다. 

     

     

     

     

    하지만 이 실업급여 또한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실업급여란 무엇이고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 중에서도 혹시 해당되는 사항이 있는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뉘어 있으며 구직급여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실업급여를 뜻합니다. 

     

     

    실업급여 조건 6개월 180일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수급자격이 됩니다. 실업급여 조건으로는 제일 먼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근로자여야 하며 본인이 자발적으로 퇴사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6개월 180일 조건으로는 퇴사일 이전 18개월간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이 6개월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본인의 근로의사와 능력이 있어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으며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으로 해야 실업급여 조건이 됩니다. 

     

    즉, 실업급여 조건 6개월 180일은 아르바이트 또는 회사에서 근무한 기간이 6개월 이상 근무하고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 비자발적 퇴사여야 실업급여 조건이 됩니다.

     

    위의 조건에 해당이 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금액은 얼마나 될까?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금액 

     

     

    실업급여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있습니다. 상한액은 1일 66,000원입니다. 하한액은 시간급 최저임금의 90% × 1일 근로시간 (8시간) 

     

    단, 계산된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 60,120원보다 낮은 경우 60,120원이 적용됩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이직일에 따라,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오래 근무하고 나이가 많을수록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길어집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최소 120일부터 최대 270일까지입니다. 

     

    오늘은 실업급여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엔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 (쉽게 하기 )

     

    실업급여 모의계산 (쉽게 하기 )

    실업급여 모의계산 쉽게 하기 실업급여는 실직 예정이거나 퇴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는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어

    adu.skslyt.com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주휴수당이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 보셨을 텐데요. 많은 사람들이 최저임금 인상률만큼이나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이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주휴수당 계산방

    adu.skslyt.com

    반응형

    댓글